많은 프리랜서나 부업으로 소득을 올리시는 분들이 궁금해하시는 질문 중 하나가 바로 '사업자 등록 없이 버는 소득도 세금 신고를 해야 하는가?'입니다. 결론부터 말씀드리자면, 대부분의 경우 소득이 발생했다면 반드시 신고하고 세금을 납부해야 합니다.
사업자 등록과 소득 신고의 관계 이해하기
사업자 등록은 사업 활동을 한다는 사실을 국가에 알리는 절차이며, 이는 사업 소득세 신고 의무와는 직접적인 관계가 없을 수 있습니다. 즉, 사업자 등록 여부와 상관없이 소득이 발생하면 소득세 납세 의무가 생깁니다. 특히 프리랜서와 같이 인적 용역을 제공하고 얻는 소득은 사업자 등록 번호가 없더라도 사업 소득에 해당됩니다 , .
따라서 사업자 등록이 되어 있지 않더라도, 소득이 발생했다면 다음 해 5월에 종합소득세 신고를 해야 합니다 .
사업 소득 신고 방법 알아보기
사업자 등록이 없는 프리랜서(인적용역사업자)의 경우, 종합소득세 신고 시 소득 금액을 계산하는 방법이 중요한데요. 주로 다음 두 가지 방식 중 하나를 적용하여 경비를 산정하고 소득 금액을 계산하게 됩니다.
단순경비율 적용
단순경비율은 수입금액의 일정 비율을 경비로 인정해주는 방식입니다 . 실제로 발생한 경비를 일일이 증빙할 필요 없이 간편하게 소득 금액을 계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 보통 사업 초기이거나 경비 지출이 많지 않은 경우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 . 예를 들어, 단순경비율이 60%인 업종에서 1,000만 원의 수입을 올렸다면, 600만 원이 경비로 인정되어 소득 금액은 400만 원이 됩니다 .
기준경비율 적용
기준경비율은 단순경비율보다 수입 규모가 큰 사업자들에게 적용되는 방식입니다 . 이 방식은 주요 경비(매입 비용, 임차료, 인건비 등)는 실제 지출액을 인정받고, 그 외의 경비는 기준경비율을 적용하여 계산합니다. 따라서 기준경비율 대상자는 주요 경비에 대한 증빙 서류를 잘 갖추어 두는 것이 중요합니다.
자신이 어떤 경비율을 적용받는지, 그리고 수입 규모에 따라 장부 작성 의무가 달라지므로, 신고 전에 본인에게 해당하는 방식을 정확히 파악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왜 소득 신고가 중요할까요?
소득 신고는 단순히 세금을 납부하는 의무를 넘어 다양한 의미를 가집니다. 정기적인 소득 신고는 소득을 공식적으로 증명하는 자료가 되므로, 대출을 받거나 금융 상품을 이용할 때 유리하게 작용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세법에 따라 받을 수 있는 다양한 소득 공제나 세액 감면 혜택을 적용받기 위해서도 정확한 소득 신고가 필수적입니다. 신고를 하지 않거나 누락할 경우, 가산세 등 불이익을 받을 수 있으므로 주의해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사업자 등록 여부와 관계없이 소득이 발생하면 세금 신고 의무가 발생한다는 점을 꼭 기억하시기 바랍니다. 5월 종합소득세 신고 기간에 맞춰 본인의 소득을 정확하게 파악하고, 해당하는 신고 방식을 통해 성실하게 신고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세금 신고 과정이 어렵게 느껴지신다면 세무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
출처:
사업자등록 없는 프리랜서(인적용역사업자)의 소득세 신고 (https://blog.naver.com/benetax/220850023437)
프리랜서 종합소득세 : 사업소득자 신고 가이드 (https://1point.kr/blog/insights/freelancer-tax-guide/)
사업자 없이 개인간 프리랜서 급여 세금 (https://www.findsemusa.com/service/consult/consultView.do?qidx=11493)
- 사업자등록을 꼭 해야 할까? (https://help.jobis.co/hc/ko/articles/360000310621-1-사업자등록을-꼭-해야-할까)
사업소득은 사업자번호가 없어도 발생할 수 있습니다 (https://nationaltax.tistory.com/entry/사업소득은-사업자번호가-없어도-발생할-수-있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