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니 글쎄, 얼마 전에 악사다이렉트 보험 관련해서 확인할 게 있어서 고객센터에 전화를 걸었단 말이지. 사실 콜센터 전화 연결되기까지 ARS 듣는 거 좀 귀찮잖아? 이거저거 누르라고 하는데 뭐가 뭔지 헷갈릴 때도 많고. 그래서 이번 기회에 악사다이렉트 고객센터 ARS 메뉴가 어떻게 돌아가는지 한번 파봤어. 여러분들도 알아두면 혹시 전화할 일 있을 때 좀 편할까 해서 말이야.
전화를 딱 걸면 안내멘트가 나오고 ARS 메뉴가 시작돼. 일단 기본적으로 보험 가입 상담은 1566-1566으로, 기존 고객 관련 서비스는 1566-2266으로 연락하라고 안내되더라고. 나는 기존 고객이니까 1566-2266으로 걸었지.
ARS에서 몇 가지 주요 번호를 안내해주는데, 내가 들은 건 대충 이런 느낌이었어.
1번은 뭐랄까, "계약조회, 카드/계좌 결제방법 변경, 담보변경, 차량대체 및 해지" 같은 일반적이거나 장기 계약 변경 관련 메뉴로 넘어가는 것 같더라고. 그러니까 "내 보험 계약 내용이 뭐였지?", "이사해서 계좌 바꿔야 하는데", "담보를 좀 조정하고 싶은데" 같은 궁금증이 있다면 일단 1번을 눌러보는 게 시작인 셈이지.
2번은 자동차 고장 긴급출동이야. 이건 뭐 설명이 필요 없지. 갑자기 차가 멈추거나 문제가 생겼을 때 바로 눌러야 하는 번호지. 급할 땐 일단 2번! 기억해두면 좋겠더라고.
3번은 자동차 사고 접수 관련 메뉴. 이것도 긴급출동처럼 사고가 났을 때 바로 연결되어야 하는 중요한 번호겠지? 사고는 안 나는 게 제일 좋지만, 혹시라도 사고가 나면 당황하지 말고 3번을 눌러서 신속하게 접수하는 게 중요해.
4번은 분납 보험료 결제 메뉴였던 것 같아. 보험료를 한 번에 내지 않고 나눠서 내는 경우에 해당 회차 보험료를 납부하거나 관련 문의를 할 때 쓰는 번호인가 봐.
5번은 마일리지나 블랙박스 특약 같은 할인 특약 관련 문의야. "내가 탄 만큼 할인받는 마일리지 특약은 어떻게 신청하지?", "블랙박스 달았는데 보험료 할인되나?" 이런 궁금증이 있다면 5번을 눌러서 자세히 알아보면 돼. 보험료 아낄 수 있는 부분이니까 잘 챙겨야지.
6번은 증명서 발급 메뉴. 보험 가입 증명서나 이런저런 서류가 필요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겠더라고. 이거 발급받으려고 고객센터 직접 방문하거나 하기 번거로운데, ARS로 처리할 수 있으면 완전 편하지.
마지막으로 7번은 다시 보험료 안내 및 가입 상담이었어. 이건 아마 처음 보험 가입을 고려하거나 보험료가 얼마 나올지 궁금할 때 이용하는 번호 같아.
ARS 메뉴를 다 듣고 나면 상담원 연결 번호가 나올 거야. 원하는 서비스 번호를 눌렀는데도 해결이 안 되거나 복잡한 문의는 상담원 연결을 통해 해결하는 게 제일 빠르겠지.
물론 ARS 메뉴는 회사 정책이나 시점에 따라 조금씩 달라질 수도 있다는 점은 염두에 둬야 해. 그래도 대략적인 흐름은 비슷할 테니까, 전화하기 전에 이 내용을 한번 떠올려보면 좀 덜 헤맬 수 있을 거야.
그리고 솔직히 ARS 기다리고 번호 누르고 하는 거 귀찮으면, 요즘엔 모바일 앱으로 웬만한 서비스 다 이용할 수 있잖아? 계약 조회나 변경, 보험료 납부, 증명서 발급 같은 건 앱으로 하는 게 훨씬 편하고 빠를 때가 많아. 전화 통화하기 어려운 상황에서도 앱으로 처리할 수 있으니까, 악사다이렉트 앱을 미리 설치해두는 것도 좋은 방법 같아. 나도 요즘엔 웬만하면 앱으로 해결하려고 하는 편이야. 그래도 급하거나 복잡한 일은 역시 고객센터 전화가 최고지만 말이야.
악사다이렉트 고객센터 ARS 메뉴 구성, 이제 좀 감이 오시나요? 다음번에 전화할 때는 헤매지 않고 필요한 서비스로 바로 연결되길 바라!
참고 사이트:
콜센터안내 - AXA손해보험
콜센터안내 - AXA 손해보험
모바일 앱 - AXA 손해보험
보험 상담, 이제 귀로 듣고 “눈”으로도 확인하세요! - AXA손해보험
악사다이렉트고객센터 전화번호 - 네이버 블로그
